sein-choi 님의 블로그

리서치 역량이 회사 전체로 확장되면 무엇이 바뀔까? 본문

기획자/아티클

리서치 역량이 회사 전체로 확장되면 무엇이 바뀔까?

sein-choi 2025. 2. 15. 22:12

리서치 역량이 회사 전체로 확장되면 무엇이 바뀔까?

 

데이터는 기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산입니다. 많은 기업이 '데이터가 흐르는 조직' 또는 '데이터 중심 조직'을 표방하며 데이터 기반으로 의사 결정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문제점:

실제로 모든 조직과 구성원이 데이터 접근하고 인사이트를 얻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이는 데이터를 활용, 수집, 분석하는 조직이 다른고 각 조직의 데이터 리터러시 능력과 관점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사례1. SK매직

상품전략팀과 외부 리서치사와 협력하여 고객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을 진행하다 보니 약 2개월이 소요되어 중요한 의사 결정 타이밍을 놓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데이터스페이스 도입 후

데이터스페이스 도입 후 리서치 전반의 프로세스를 직접 진행, 프로젝트 소요 시간을 1주일로 단축했습니다.

리서치 내재화 상품전략팀 외에도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현업 부서도 늘었습니다.

 

사례2. 스타벅스

다양한 설문을 동시에 진행이 불가능하고 유과부서와의 협업으로 데이터 설계와 수집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데이터스페이스 도입 후

필요한 고객 데이터를 문항 설계부터 수집, 분석까지 조직에서 독립성을 가지고 진행했습니다.

더 풍부한 데이터 내재화와 빠른 서비스 개선을 이루었습니다.

 

✅해결방안:

개별 조직이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환경 구축

결과 데이터는 유관 부서 및 구성원에게 공유

 

리서치 역량이 회사 전체로 확장되면 무엇이 바뀔까? - 오픈서베이 블로그

여러 부서가 독립적으로 리서치 프로젝트를 진행하되 공유하고 협업하는 문화를 만들어 비즈니스와 서비스를 개선한 사례를 더 자세히 확인하세요.

blog.opensurvey.co.kr

💡INSIGHT
많은 기업들이 데이터 중심 환경을 지향하면서 각 조직원들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조직원이 데이터 활용에 능숙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데이터스페이스와 같은 외부 서비스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내부에서만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 말고, 더 넓은 시야를 가지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파악하는 능력 역시 중요한 역량이라는 생각이 들게 합니다.

'기획자 > 아티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 잘하는 PM은 어떤 역량을 가지고 있을까?  (0) 2025.02.17